📈 1. 상속세 세율표 (누진세율 구조)

상속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:

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
1억 원 이하 10% 없음
1억 ~ 5억 20% 1천만 원
5억 ~ 10억 30% 6천만 원
10억 ~ 30억 40% 1억6천만 원
30억 초과 50% 3억6천만 원

세액 산출 공식: 상속세 = 과세표준 × 세율 – 누진공제

🗂 2. 제출 서류 및 면제 한도액

제출 서류

  • 상속세 과세표준신고서 및 부속서류
  • 재산목록, 평가명세서, 장례비 영수증
  • 증여세 관련 서류, 인적 공제 증빙 자료 등

면제 한도(공제 항목)

  • 기초공제: 2억 원
  • 일괄공제: 기초+인적공제 합계 또는 5억 원 중 큰 금액
  • 배우자공제: 최소 5억, 최대 30억 (분할기한 내 조건 충족 시)
  • 자녀: 1인당 5천만 원
  • 미성년자: 1천만 원 × 잔여연수
  • 65세 이상 연로자: 5천만 원
  • 장애인: 1천만 원 × 기대여명
  • 동거주택공제: 10년 동거 시 최대 6억 원
  • 가업상속·영농상속: 조건 충족 시 수백억 가능

🕒 3. 신고·분할기한 및 면제 기한

  • 신고·납부기한: 거주자 6개월, 비거주자 9개월 이내
  • 배우자 분할기한: 신고기한 다음 날부터 9개월 이내 분할 완료
  • 분할 연장 사유: 소송·심판 등 종료 후 6개월 이내 추가 인정

✅ 4. 요약 정리

구분 내용
세율구간 10%~50%, 과세표준 구간별 누진구조
기초공제 2억 원
일괄공제 5억 원 또는 인적공제 총액 중 큰 금액
배우자공제 최소 5억, 최대 30억 (9개월 내 분할)
기타공제 자녀, 미성년, 연로자, 장애인, 동거주택, 가업·영농상속
신고기한 거주자: 6개월, 비거주자: 9개월
분할기한 배우자 공제 요건은 신고 후 9개월 내 분할 필요

📌 핵심 체크 포인트

  • 과세표준 줄이기 위해 공제 항목 최대한 활용
  • 배우자 공제 최대한도 적용 위해 분할기한 내 협의 필수
  • 공제요건은 사전 증빙 준비가 핵심
  • 신고지연 시 가산세 발생 가능성 있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