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가 정책을 발표할 때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‘중위소득’입니다.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한 채 대략적인 기준으로만 이해하고 지나치곤 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중위소득의 개념과 계산 방식, 퍼센트로 표현되는 이유를 살펴보고, 나의 소득이 중위소득 대비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. 또한 이를 통해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과 맞춤형 급여 안내 서비스까지 연결하여, 단순한 숫자 이상의 실제적인 의미를 짚어보았습니다. 앞으로 발표되는 정책이 내 삶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정확히 알고 싶으신 분들께 도움이 될 만한 안내가 될 것입니다.
1. 중위소득의 뜻
중위소득은 우리나라 국민을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. 절반의 가구는 이 소득보다 많고, 나머지 절반은 적게 버는 기준점이 됩니다.
평균소득과 달리 극단적인 고소득층이나 저소득층의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에, 국민 생활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더 적합합니다. 정부는 복지정책과 각종 지원 제도의 기준을 정할 때 중위소득을 주요 척도로 활용합니다.
2. 중위소득의 계산 공식과 변수 설명
중위소득(M) = Median(E)
여기서, E = Y ÷ √N
- Y (가구소득): 한 달 동안 얻은 총소득. 근로소득, 사업소득, 재산소득, 이전소득 포함.
- N (가구원수): 가구에 함께 거주하는 인원 수. 인원 수에 따라 생활수준이 달라지므로 보정 필요.
- E (균등화 가구소득): Y ÷ √N. 인원이 늘어나도 지출이 단순 비례하지 않음을 고려한 계산.
- Median(E): 모든 가구의 E 값을 정렬했을 때 중앙값. 짝수일 경우 중앙 두 값 평균.
예시
- 가구 A: Y=400만 원, N=4명 → E=200만 원
- 가구 B: Y=300만 원, N=2명 → E≈212만 원
- 가구 C: Y=250만 원, N=1명 → E=250만 원
정렬된 E 값 = [200, 212, 250] → 중앙값은 212만 원 → 중위소득(M)=약 212만 원
3. 중위소득의 % 표현 방식
중위소득은 ‘100%’ 기준 외에도 퍼센트 단위로 활용됩니다.
- 중위소득 100%: 기준치 자체
- 중위소득 120%: 기준치의 1.2배
- 중위소득 50%: 기준치의 절반
활용 이유
- 정책 기준 설정: 복지제도 신청 자격을 ‘중위소득 120% 이하 가구’ 등으로 규정.
- 소득 수준 비교: 개인/가구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 가능.
- 균형적 지원: 가구원 수에 따른 생활수준 차이를 조정.
예시 (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= 500만 원)
- 중위소득 50% = 250만 원
- 중위소득 80% = 400만 원 (→ 기준보다 20% 낮음)
- 중위소득 100% = 500만 원
- 중위소득 120% = 600만 원 (→ 기준보다 20% 높음)
- 중위소득 150% = 750만 원





4. 포드림 중위소득 계산기 사용법
포드림 계산기 는 가구원 수와 월 소득을 입력하면 기준 중위소득의 몇 %인지 확인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. (2021년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 사용)
사용 방법
- 웹사이트 접속
- 가구원 수 선택 (1인~7인)
- 월 소득 입력
- ‘계산하기’ 버튼 또는 슬라이더로 결과 확인
- 결과는 수치와 그래프로 표시
주의사항
- 2021년 기준만 반영 → 최신 수치와 차이 있을 수 있음
- 최신 자료는 복지로 모의계산





5. 내 소득 위치와 복지 혜택 확인 방법
내가 중위소득 대비 몇 % 수준에 있는지를 알게 되면, 이를 통해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지원이 가능합니다.
- 기초생활보장
- 의료비 지원
- 교육비 지원
- 주거급여
이러한 복지 제도는 보통 중위소득 50% 이하 또는 중위소득 120% 이하와 같은 기준을 충족해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대표 사이트는 복지로 모의계산기 입니다.
복지로 모의계산기 사용 방법
- 사이트 접속 후, ‘모의계산’ 메뉴를 선택합니다.
- 가구원 수, 소득, 재산 등의 정보를 입력합니다.
- 결과 화면에서 본인이 신청할 수 있는 복지 서비스 목록과 자격 여부를 확인합니다.





6. 복지로 맞춤형 급여 안내 신청과 중위소득 확인 연계
복지로 에서는 ‘맞춤형 급여 안내’ 서비스를 제공하여, 개인이 입력한 가구원 수, 소득, 재산 정보를 바탕으로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을 종합적으로 알려줍니다. 이 과정은 곧 나의 중위소득 위치를 확인하는 작업과 연결됩니다.
- 먼저 자신의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몇 % 수준인지 확인합니다.
- 복지로에 접속해 ‘맞춤형 급여 안내’를 신청합니다.
- 결과에 따라 실제로 신청 가능한 복지 서비스 목록이 제공됩니다.





0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