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) |
🕒 선거 일정표로 보는 대통령선거와 재보궐선거 주요 날짜 정리
2026년 전국동시지방선거 및 재보궐선거 일정
선거일: 2026년 6월 3일 (수요일)에 지방선거 및 일부 재보궐선거 동시 실시 예정.
이 재보궐선거는 전국단위가 아니며, 궐위(사직, 사망, 당선무효 등) 발생 지역을 대상으로 함.
대통령선거 주요 일정 예측
현재 정상 주기대로라면 2030년 3월 말~4월 초 대통령선거가 법정 산식에 따라 예정됨. (대통령 임기 만료 70일 전 첫 번째 수요일)
다만, 조기 대선이 있을 경우 산식이 바뀌므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고 확인이 필수.
재보궐선거 일정표 포인트
- 일반적으로 매년 4월 첫째 수요일에 재보궐선거 실시
- 지방자치단체장 궐위 시엔 10월 첫째 수요일도 가능
- 2026년 재보궐선거는 6월 3일,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병행됨
일정표 확인 시 필수 유의사항
- 후보자등록 마감일, 선거운동 시작일, 사전투표 일정 등 순서와 날짜 확인
-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지방선거관리위원회의 공고 자료 참고
- 법정일이 공휴일, 연휴 전후일 경우 조정 가능성 있음
🪪 신분증 준비와 사전투표 절차, 유권자가 꼭 알아야 할 체크리스트
투표 시 인정되는 신분증 종류
- 주민등록증
- 운전면허증
- 여권
- 공무원증, 군인신분증 등 관공서 발급 사진 부착 신분증
- 모바일 신분증(모바일 운전면허증, 모바일 주민등록증) 사용 가능
※ 단순 사진, 복사본, 학생증, 사원증은 불인정
사전투표 절차 (대한민국 모든 선거 동일 적용)
- 투표소 방문: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모든 사전투표소 이용 가능
- 신분증 제시: 본인 확인 후 선거인명부 대조
- 투표용지 수령: 기표소에서 기표 후 투표함 투입
- 투표 시간: 선거일 5일 전 금·토요일, 오전 6시~오후 6시
유권자 체크리스트
- 신분증 실물 필수 지참, 분실 시 재발급 또는 모바일 신분증 준비
- 사전투표는 주소지 무관하게 가능, 본투표는 주소지 관할 투표소만 가능
- 장시간 대기 대비: 보조배터리, 휴대용 의자, 우산 준비
- 거소투표·병원투표·선상투표는 법정 마감일(선거일 약 20일 전) 엄수
중앙선거관리위원회 안내사항
- 공식 사전투표소 위치와 운영 시간은 선관위 홈페이지에 공고
- 사전투표소는 보통 읍·면·동 주민센터, 체육관, 구청 등에 설치
⚖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고와 공직선거법 규정에 따른 투표 안내
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고의 의미
모든 선거 일정과 세부 운영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(NEC)의 공식 공고를 통해 확정됩니다.
- 선거일, 사전투표 기간, 후보자 등록일, 선거운동 개시일, 선거인명부 작성일 포함
- 공휴일과 겹칠 경우 공직선거법 규정에 따라 다음 주 수요일로 이월
공직선거법 주요 규정 정리
- 대통령선거: 임기만료일 전 70일 이후 첫 번째 수요일
- 국회의원 총선거: 임기만료일 전 50일 이후 첫 번째 수요일
- 지방선거: 임기만료일 전 30일 이후 첫 번째 수요일
- 재·보궐선거: 4월 첫째 수요일, 필요 시 10월 첫째 수요일
- 투표시간: 일반 선거 06:00~18:00, 보궐·궐위 성격의 선거는 20:00까지 연장 가능
유권자가 반드시 확인해야 할 공고 항목
- 선거일과 사전투표 일정
- 후보자 등록 기간과 선거운동 시작일
- 재외선거 신고·등록 마감일 (대통령·총선 해당)
- 거소투표·선상투표·병원투표 신고 마감일
- 투표소 위치 및 운영 시간
실무 팁
- 선관위 홈페이지(nec.go.kr)에서 ‘선거사무일정표’ 수시 확인
- 선거법상 허용·금지되는 행위는 선관위 Q&A 게시판 참고
-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정보 앱 활용 → 투표소 위치, 후보자 정보, 일정 확인 가능
0 댓글